정전: 두 판 사이의 차이

WONGO
둘러보기로 이동 검색으로 이동
(새 문서: ```원불교 교전 - 정전(正典) 대종경(大宗經)''' 원기 28년(1943)《불교정전》으로 발간 후 정화사에서 재결집하여 원기 47년(1962) 어록인 《대종경》과 함께 《원불교교전》으로 합간했습니다. 정산종사는 “정전은 교리의 원강을 밝혀 주신 ‘원(元)’의 경전이요, 대종경은 두루 통달케 하여 주신 ‘통(通)’의 경전이라”하였습니다. ---- ==일원상·교리도== <g...)
 
10번째 줄: 10번째 줄:


==표어==
==표어==
[[파일:교전 P009.jpg|100px|섬네일|오른쪽|정전P9]]
* 물질(物質)이 개벽(開闢) 되니 정신(精神)을 개벽(開闢)하자 <small>''//개교표어''</small>
* 물질(物質)이 개벽(開闢) 되니 정신(精神)을 개벽(開闢)하자 <small>''//개교표어''</small>
With this Great Opening of matter, Let there be a Great Opening of spirit.
[[파일:교전 P011.jpg|100px|섬네일|오른쪽|정전P11]]


* 처처불상(處處佛像) 사사불공(事事佛供) <small>''//신앙표어''</small>
* 처처불상(處處佛像) 사사불공(事事佛供) <small>''//신앙표어''</small>
Everywhere a Buddha Image | Every Act a Buddha Offering


* 무시선(無時禪) 무처선(無處禪) <small>''//수행표어''</small>
* 무시선(無時禪) 무처선(無處禪) <small>''//수행표어''</small>
Timeless Sŏn  |  Placeless Sŏn


* 동정일여(動靜一如) 영육쌍전(靈肉雙全) <small>''//조화표어''</small>
* 동정일여(動靜一如) 영육쌍전(靈肉雙全) <small>''//조화표어''</small>
One Suchness in Action and Rest | Wholeness of Both Spirit and Flesh


* 불법시생활(佛法是生活) 생활시불법(生活是佛法) <small>''//생활표어''</small>
* 불법시생활(佛法是生活) 생활시불법(生活是佛法) <small>''//생활표어''</small>
Buddhadharma Is Daily Life | Daily Life Is Buddhadharma.


== 제1 총서편(總序編) ==
== 제1 총서편(總序編) ==

2025년 1월 12일 (일) 10:02 판

```원불교 교전 - 정전(正典) 대종경(大宗經) 원기 28년(1943)《불교정전》으로 발간 후 정화사에서 재결집하여 원기 47년(1962) 어록인 《대종경》과 함께 《원불교교전》으로 합간했습니다. 정산종사는 “정전은 교리의 원강을 밝혀 주신 ‘원(元)’의 경전이요, 대종경은 두루 통달케 하여 주신 ‘통(通)’의 경전이라”하였습니다.


일원상·교리도

표어

  • 물질(物質)이 개벽(開闢) 되니 정신(精神)을 개벽(開闢)하자 //개교표어
  • 처처불상(處處佛像) 사사불공(事事佛供) //신앙표어
  • 무시선(無時禪) 무처선(無處禪) //수행표어
  • 동정일여(動靜一如) 영육쌍전(靈肉雙全) //조화표어
  • 불법시생활(佛法是生活) 생활시불법(生活是佛法) //생활표어

제1 총서편(總序編)

제1장 개교(開敎)의 동기(動機)

현하 과학의 문명이 발달됨에 따라 물질을 사용하여야 할 사람의 정신은 점점 쇠약하고, 사람이 사용하여야 할 물질의 세력은 날로 융성하여, 쇠약한 그 정신을 항복 받아 물질의 지배를 받게 하므로, 모든 사람이 도리어 저 물질의 노예 생활을 면하지 못하게 되었으니, 그 생활에 어찌 파란 고해(波瀾苦海)가 없으리요.

그러므로, 진리적 종교의 신앙과 사실적 도덕의 훈련으로써 정신의 세력을 확장하고, 물질의 세력을 항복 받아, 파란 고해의 일체 생령을 광대무량한 낙원(樂園)으로 인도하려 함이 그 동기니라.

Chapter One: The Founding Motive of the Teach

Today, with the development of scientific civilization, the human spirit, which should be making use of material things, has steadily weakened, while the power of material things, which human beings should be using, has daily grown stronger, conquering that weakened spirit and bringing it under its domination; humans therefore cannot help but be enslaved by the material. How would they avoid the turbulent sea of suffering in their lives?

Consequently, our founding motive is to lead all sentient beings, who are drowning in the turbulent sea of suffering, to a vast and immeasurable paradise by expanding spiritual power and conquering material power through faith in a religion based on truth and training in morality based on facts.

제2장 교법(敎法)의 총설(總說)

불교는 무상 대도(無上大道)라 그 진리와 방편이 호대하므로 여러 선지식(善知識)이 이에 근원하여 각종 각파로 분립하고 포교문을 열어 많은 사람을 가르쳐 왔으며, 세계의 모든 종교도 그 근본되는 원리는 본래 하나이나, 교문을 별립하여 오랫동안 제도와 방편을 달리하여 온 만큼 교파들 사이에 서로 융통을 보지 못한 일이 없지 아니하였나니, 이는 다 모든 종교와 종파의 근본 원리를 알지 못하는 소치라 이 어찌 제불 제성의 본의시리요.

그 중에도, 과거의 불교는 그 제도가 출세간(出世間) 생활하는 승려를 본위하여 조직이 되었는지라, 세간 생활하는 일반 사람에 있어서는 모든 것이 서로 맞지 아니하였으므로, 누구나 불교의 참다운 신자가 되기로 하면 세간 생활에 대한 의무와 책임이며 직업 까지라도 불고하게 되었나니, 이와 같이 되고 보면 아무리 불법이 좋다 할지라도 너른 세상의 많은 생령이 다 불은(佛恩)을 입기 어려울지라, 이 어찌 원만한 대도라 하리요.

그러므로, 우리는 우주 만유의 본원이요, 제불제성의 심인(心印)인 법신불 일원상을 신앙의 대상과 수행의 표본으로 모시고, 천지·부모·동포·법률의 사은(四恩)과 수양·연구·취사의 삼학(三學)으로써 신앙과 수행의 강령을 정하였으며, 모든 종교의 교지(敎旨)도 이를 통합 활용하여 광대하고 원만한 종교의 신자가 되자는 것이니라.

Chapter Two: An Outline of the Teaching

Buddhism is the unsurpassed, great path; its truths and expedients are immense, so that numerous spiritual mentors have taken them as the basis of various schools and sects, thereby opening the gates of propagation and teaching countless people. The fundamental principles of all the world’s religions are also essentially one, but as different religions have long been established with different systems and expedients, there have been not a few incidents of failure to reach harmony and dialogue between these religious groups. All this is due to ignorance of the fundamental principles underlying all religions and their sects. How could this be the original intent of all the buddhas and sages?

Looking especially at the Buddhism of the past, its institutions were organized mainly in terms of monastic orders, which were not well suited to people living in the secular world, so that anyone who wished to be a true Buddhist had to ignore one’s duties and responsibilities to the secular life and even give up one’s occupation. In such a situation, no matter how good the buddhadharma, it would be difficult for all the many living creatures in this boundless world to gain access to the buddhas’ grace. How could this be the consummate, great Way?

Therefore, we have enshrined as the object of faith and the model of practice Il-Won-Sang (One Circle Image), the Dharmakāya (law-body) Buddha, which is the original source of all things in the universe and the mind-seal of all the buddhas and sages. We have laid down as the main principles of faith and practice the Fourfold Grace of Heaven and Earth, Parents, Fellow Beings, and Laws, and the Threefold Study of Cultivating the Spirit, Inquiry into Human Affairs and Universal Principles, and Choice in Action. Our aim is to become adherents of a broad and consummate religion by incorporating and making use as well of the doctrines of all the world’s religions.

제2 교의편(敎義編)

제1장 일원상(一圓相)

제1절 일원상의 진리(眞理)

일원(一圓)은 우주 만유의 본원이며, 제불 제성의 심인이며, 일체 중생의 본성이며, 대소 유무(大小有無)에 분별이 없는 자리며, 생멸 거래에 변함이 없는 자리며, 선악 업보가 끊어진 자리며, 언어 명상(言語名相)이 돈공(頓空)한 자리로서 공적 영지(空寂靈知)의 광명을 따라 대소 유무에 분별이 나타나서 선악 업보에 차별이 생겨나며, 언어 명상이 완연하여 시방 삼계(十方三界)가 장중(掌中)에 한 구슬같이 드러나고, 진공 묘유의 조화는 우주 만유를 통하여 무시광겁(無始曠劫)에 은현 자재(隱顯自在)하는 것이 곧 일원상의 진리니라.

Section One: The Truth of Il-Won-Sang

Il-Won (One Circle) is the original source of all things in the universe, the mind-seal of all the buddhas and sages, and the original nature of all sentient beings; the realm where there is no discrimination regarding great and small, being and nonbeing; the realm where there is no change amid arising and ceasing, coming and going; the realm where wholesome and unwholesome karmic retribution has ceased; the realm where language, names, and signs are utterly void. Through the light of the void and calm, numinous awareness, the discrimination regarding great and small, being and nonbeing, appears; whereupon the distinction between wholesome and unwholesome karmic retribution comes into being; language, names, and signs also become obvious, so that the triple worlds in the ten directions appear like a jewel in hand; and the creative transformations of true voidness and marvelous existence freely conceal and reveal themselves through all things in the universe throughout vast eons without beginning: this is the truth of Il-Won-Sang .

제2절 일원상의 신앙(信仰)

일원상의 진리를 우주 만유의 본원으로 믿으며, 제불 제성의 심인으로 믿으며, 일체 중생의 본성으로 믿으며, 대소 유무에 분별이 없는 자리로 믿으며, 생멸 거래에 변함이 없는 자리로 믿으며, 선악 업보가 끊어진 자리로 믿으며, 언어 명상이 돈공한 자리로 믿으며, 그 없는 자리에서 공적 영지의 광명을 따라 대소 유무에 분별이 나타나는 것을 믿으며, 선악 업보에 차별이 생겨나는 것을 믿으며, 언어 명상이 완연하여 시방 삼계가 장중에 한 구슬같이 드러나는 것을 믿으며, 진공 묘유의 조화는 우주 만유를 통하여 무시광겁에 은현 자재하는 것을 믿는 것이 곧 일원상의 신앙이니라.

Section Two: Faith in Il-Won-Sang

To believe in the truth of Il-Won-Sang as the original source of all things in the universe; To believe in it as the mind-seal of all the buddhas and sages; To believe in it as the original nature of all sentient beings; To believe in it as the realm where there is no discrimination regarding great and small, being and nonbeing; To believe in it as the realm where there is no change amid arising and ceasing, coming and going; To believe in it as the realm where wholesome and unwholesome karmic retribution has ceased; To believe in it as the realm where language, names, and signs are utterly void; in that realm of voidness, to believe that the discrimination regarding great and small, being and nonbeing, appears through the light of the void and calm, numinous awareness; To believe that the distinction between wholesome and unwholesome karmic retribution comes into being; To believe that language, names, and signs become obvious, so that the triple worlds in the ten directions appear like a jewel in hand; To believe that the creative transformations of true voidness and marvelous existence freely conceal and reveal themselves through all things in the universe throughout vast eons without beginning: This is faith in Il-Won-Sang.

제3절 일원상의 수행(修行)

일원상의 진리를 신앙하는 동시에 수행의 표본을 삼아서 일원상과 같이 원만 구족(圓滿具足)하고 지공 무사(至公無私)한 각자의 마음을 알자는 것이며, 또는 일원상과 같이 원만 구족하고 지공 무사한 각자의 마음을 양성하자는 것이며, 또는 일원상과 같이 원만 구족하고 지공 무사한 각자의 마음을 사용하자는 것이 곧 일원상의 수행이니라.

Section Three: Practice of Il-Won-Sang

Believing in and, at the same time, modeling ourselves on the truth of Il-Won-Sang, our aim is that we should know our minds, which are perfect and complete, utterly impartial and selfless like Il-Won-Sang; that we should nurture our minds, which are perfect and complete, utterly impartial and selfless like Il-Won-Sang; and that we should use our minds, which are perfect and complete, utterly impartial and selfless like Il-Won-Sang: this is the practice of Il-Won-Sang

제4절 일원상 서원문(誓願文)

일원은 언어도단(言語道斷)의 입정처(入定處)이요, 유무 초월의 생사문(生死門)인 바, 천지·부모·동포·법률의 본원이요, 제불·조사·범부·중생의 성품으로 능이성 유상(能以成有常)하고 능이성 무상(無常)하여 유상으로 보면 상주 불멸로 여여 자연(如如自然)하여 무량 세계를 전개하였고, 무상으로 보면 우주의 성·주·괴·공(成住壞空)과 만물의 생·로·병·사(生老病死)와 사생(四生)의 심신 작용을 따라 육도(六途)로 변화를 시켜 혹은 진급으로 혹은 강급으로 혹은 은생어해(恩生於害)로 혹은 해생어은(害生於恩)으로 이와 같이 무량 세계를 전개하였나니, 우리 어리석은 중생은 이 법신불 일원상을 체받아서 심신을 원만하게 수호하는 공부를 하며, 또는 사리를 원만하게 아는 공부를 하며, 또는 심신을 원만하게 사용하는 공부를 지성으로 하여 진급이 되고 은혜는 입을지언정, 강급이 되고 해독은 입지 아니하기로써 일원의 위력을 얻도록까지 서원하고 일원의 체성(體性)에 합하도록까지 서원함.

Section Four: The Il-Won-Sang Vow

Il-Won is the realm of samādhi beyond all words and speech, the gateway of birth and death that transcends being and nonbeing, the original source of heaven and earth, parents, fellow beings, and laws, and the nature of all buddhas, enlightened masters, ordinary humans, and sentient beings. It can form both the permanent and the impermanent. Viewed as the permanent, it has unfolded into an infinite world that is ever abiding and unextinguished, just as it is and spontaneous. Viewed as the impermanent, it has unfolded into an infinite world, now as progression, now as regression, here as grace arising from harm, there as harm arising from grace, by effecting transformations through the formation, subsistence, decay, and dissolution of the universe, the birth, old age, sickness, and death of all things, and the six rebirth destinies in accordance with the mental and bodily functions of the four modes of birth. Therefore, modeling ourselves wholeheartedly on this Il-Won-Sang, the Dharmakāya Buddha, and practicing with utmost devotion to keep our mind and body perfectly, to know human affairs and universal principles perfectly, and to use our mind and body perfectly, we deluded beings make this vow so that, by progressing rather than regressing and receiving grace rather than harm, we may attain the awesome power of Il-Won and be unified with the substance and nature of Il-Won.

제5절 일원상 법어(法語)

〇 이 원상(圓相)의 진리를 각(覺)하면 시방 삼계가 다 오가(吾家)의 소유인 줄을 알며, 또는 우주 만물이 이름은 각각 다르나 둘이 아닌 줄을 알며, 또는 제불·조사와 범부·중생의 성품인 줄을 알며, 또는 생·로·병·사의 이치가 춘·하·추·동과 같이 되는 줄을 알며, 인과 보응의 이치가 음양상승(陰陽相勝)과 같이 되는 줄을 알며, 또는 원만 구족한 것이며 지공 무사한 것인 줄을 알리로다.

○ 일원상이 원상은 눈을 사용할 때에 쓰는 것이니 원만 구족한 것이며 지공 무사한 것이로다.

○ 일원상이 원상은 귀를 사용할 때에 쓰는 것이니 원만 구족한 것이며 지공 무사한 것이로다.

○ 일원상이 원상은 코를 사용할 때에 쓰는 것이니 원만 구족한 것이며 지공 무사한 것이로다.

○ 일원상이 원상은 입을 사용할 때에 쓰는 것이니 원만 구족한 것이며 지공 무사한 것이로다.

○ 일원상이 원상은 몸을 사용할 때에 쓰는 것이니 원만 구족한 것이며 지공 무사한 것이로다.

○ 일원상이 원상은 마음을 사용할 때에 쓰는 것이니 원만 구족한 것이며 지공 무사한 것이로다.

〇 Section Five: Dharma Words on Il-Won-Sang

〇 Once enlightened to the truth of this Won-Sang (Circle Image), we will know that the triple worlds in the ten directions are our own property; that all things in the universe are nondual despite their different names; that this is the nature of all the buddhas, enlightened masters, ordinary humans, and sentient beings; that the principle of birth, old age, sickness, and death operates like spring, summer, autumn, and winter; that the principle of the retribution and response of cause and effect operates like the alternating predominance of yin and yang; and that this is perfect and complete, utterly impartial and selfless.

○ This Won-Sang is to be used when we use our eyes; it is perfect and complete, utterly impartial and selfless.

○ This Won-Sang is to be used when we use our ears; it is perfect and complete, utterly impartial and selfless.

○ This Won-Sang is to be used when we use our noses; it is perfect and complete, utterly impartial and selfless.

○ This Won-Sang is to be used when we use our tongues; it is perfect and complete, utterly impartial and selfless.

○ This Won-Sang is to be used when we use our bodies; it is perfect and complete, utterly impartial and selfless.

○ This Won-Sang is to be used when we use our minds; it is perfect and complete, utterly impartial and selfless.

제6절 게송(偈頌)

유(有)는 무(無)로 무는 유로 돌고 돌아 지극(至極)하면 유와 무가 구공(俱空)이나 구공 역시 구족(具足)이라.

Section Six: Transmission Verse

Being into nonbeing and nonbeing into being, Turning and turning-in the ultimate, Being and nonbeing are both void, Yet this void is complete.

제2장 사은(四恩)

제1절 천지은(天地恩)

제2절 부모은(父母恩)

제3절 동포은(同胞恩)

제4절 법률은(法律恩)

제3장 사요(四要)

제1절 자력양성(自力養成)

제2절 지자본위(智者本位)

제3절 타자녀 교육(他子女 敎育)

제4절 공도자 숭배(公道者 崇拜)

제4장 삼학(三學)

제1절 정신수양(精神修養)

제2절 사리연구(事理硏究)

제3절 작업취사(作業取捨)

제5장 팔조(八條)

제1절 진행 사조(進行四條)

제2절 사연 사조(捨捐四條)

제6장 인생의 요도와 공부의 요도(人生-要道 工夫-要道)

제7장 사대강령(四大綱領)

제3 수행편(修行編)

제1장 일상수행의 요법(要法)

제2장 정기(定期) 훈련과 상시常時 훈련

제1절 정기 훈련법(訓練法)

제2절 상시 훈련법

제3절 정기훈련법과 상시훈련법의 관계

제3장 염불법(念佛法)

제4장 좌선법(坐禪法)

제5장 의두 요목(疑頭要目)

제6장 일기법(日記法)

제7장 무시선법(無時禪法)

제8장 참회문(懺悔文)

제9장 심고(心告)와 기도(祈禱)

제10장 불공(佛供)하는 법

제11장 계문(戒文)

제12장 솔성요론(率性要論)

제13장 최초법어(最初法語)

제14장 고락(苦樂)에 대한 법문

제15장 병든 사회와 그 치료법

제16장 영육 쌍전 법(靈肉雙全法)

제17장 법위등급(法位等級)